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
TLS 1.3과 0-RTT: 보안 유지하면서 핸드셰이크 단축하기 TLS 1.3은 “더 안전하면서 더 빠른” 웹을 목표로 설계됐습니다. 핵심은 핸드셰이크 왕복(RTT) 축소와 암호 스위트 단순화, 여기에 0-RTT(early data) 로 재방문 사용자의 체감 지연을 크게 줄이는 점이에요. 다만 0-RTT에는 재생 공격(replay) 같은 위험이 동반되므로, 안전한 범위를 정해 도입해야 합니다. 이 글은 TLS 1.3과 0-RTT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운영에서 바로 쓰는 체크리스트까지 제공합니다.1) TLS 1.3 한눈에 보기: 왜 기본이 빨라졌나왕복 감소: TLS 1.2는 (대부분의 경우) 2-RTT가 필요했지만, TLS 1.3은 1-RTT로 암호화 채널을 완료합니다. 그만큼 TTFB가 줄어들고, 특히 모바일·해외 구간에서 이득이 큽니다.암호 스위트 단순화: 취약하..
HTTP/2 멀티플렉싱 vs HOL 블로킹: 체감 성능 차이는? HTTP/2로 바꾸면 항상 빨라질까요? 절반은 맞고 절반은 아닙니다. 멀티플렉싱 덕분에 요청을 한 연결로 동시 전송할 수 있지만, TCP 기반 특성 때문에 HOL(Head-of-Line) 블로킹이 생기면 체감 성능이 오히려 흔들릴 수 있어요. 이 글은 두 개념을 구조적으로 정리하고, 사이트에서 무엇을 점검해야 하는지 실천 팁까지 담았습니다.1) 멀티플렉싱: 단일 연결에서의 병렬 전송정의: HTTP/2는 하나의 TCP 연결 위에 여러 스트림을 얹어 CSS, JS, 이미지 등을 병렬로 전송합니다. HTTP/1.1 시절처럼 도메인 샤딩이나 요청 수를 억지로 분산하지 않아도 됩니다.장점 요약초기 연결·핸드셰이크 수를 줄여 지연 비용 절감중요 리소스를 먼저 보내는 우선순위 제어 가능HPACK 헤더 압축으로 중복 ..
HTTP/3와 QUIC 완전정복: 왜 레이턴시가 줄어드나 “같은 서버, 같은 콘텐츠인데 왜 HTTP/3로 바꾸면 체감이 다르지?”핵심은 TCP에서 UDP 기반 QUIC으로 바뀌면서 생긴 구조적 변화입니다. HTTP/3는 QUIC 위에서 동작하고, QUIC은 전송·보안·연결관리까지 한 번에 처리해 왕복 지연(RTT)과 재전송 비용을 확 줄입니다. 아래를 읽고 나면, 어떤 트래픽에서 HTTP/3(QUIC) 가 빛나는지 명확해집니다.1) TCP의 한계, QUIC이 어떻게 뚫었나헤드 오브 라인 블로킹(HOL) 해소HTTP/2는 멀티플렉싱을 지원하지만 TCP 단일 스트림 위에 얹혀 있어 패킷 유실이 나면 뒤따르는 데이터도 같이 멈춥니다. 반면 QUIC 스트림은 독립적이라 한 스트림의 손실이 다른 스트림에 영향을 주지 않아 체감 레이턴시가 줄어듭니다.커널 우회 + 빠른 ..
몬트리올 지하철 몬트리올 지하철(프랑스어: Métro de Montréal, 영어: Montreal Metro)은 캐나다 퀘벡주의 몬트리올섬과 라발, 롱괴유에 운행하는 도시 철도 체계이다. 고무 바퀴 열차가 전구간 지하로 운행하며 몬트리올 도시권 산하 기관인 몬트리올 교통공사가 운행한다. 1966년 10월 14일에 장 드라포 시장이 건축 양식과 전동차에 있어서 파리 지하철에 영감을 받아 지어졌으며 첫 개통 당시 3개 노선 26개 역으로 시작한 몬트리올 지하철은 2019년 기준 4개 노선 68개 역으로 확장하였으며, 총연장은 71km이다. 세인트로렌스강을 하저터널로 건너 롱괴유에 지하철역이 하나 있고 가장 최근인 2007년에 연장된 라발에는 3개의 역이 있다. 몬트리올 지하철은 캐나다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도시 철도로,..